[이스라엘 이야기] 35. 현대 이스라엘의 정체성 – 정착촌, 유대교 국가, 내부 갈등
1. “유대 국가”라는 개념, 어디까지 허용될까?현대 이스라엘은 ‘유대인의 국가’라는 정체성을 분명하게 내세워.2018년, 이스라엘 국회는 논란이 컸던국가 정체성 기본법을 통과시켰는데,이 법은 이스라엘을 “유대 민족의 역사적 고향”,그리고 **“오직 유대인만이 자결권을 가진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어. 이 법의 핵심은 간단해.“이스라엘은 유대인의 나라”, 그리고 “아랍어는 더 이상 공용어가 아니다.”이 법은 다수의 유대인에게는 자부심을 주었지만,이스라엘 내 아랍계 시민들(전체 인구의 약 20%)에게는 차별의 상징으로 다가왔지.그 결과, 이스라엘 사회 내부에서도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어.유대교 정통파와 보수 진영은 “당연한 법”이라 주장했고,진보 진영과 아랍계 시민은 “이스라엘 민주주의의 후퇴”라고 강하게..
2025. 6. 28.
[이스라엘 이야기] 32.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 무력 충돌과 테러
1. 디아스포라의 그늘 아래, 팔레스타인인들의 분노가 솟구치다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한 1948년 이후, 수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이고향에서 쫓겨나 주변 아랍 국가로 흩어졌어.이들은 자신들을 “난민”으로 불렀고, 갈 곳 없는 삶을 이어가야 했지.레바논, 요르단, 시리아, 이집트 등지에 정착한 수백만 명의팔레스타인인은 국가도, 시민권도, 미래도 없이 살아가는 존재가 되었어. 이런 절망 속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PLO)**였어.1964년, 아랍연맹 주도로 만들어졌는데,처음엔 아랍 국가들의 정치 도구였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PLO는 점점 팔레스타인인들 스스로의 독립을 위한 조직으로 변모해갔어.특히 1969년, **야세르 아라파트..
2025.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