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식민지] 20. 식민지의 유산 – 영국식 법률, 교육, 언어가 남긴 흔적과 논쟁
식민지 시대는 끝났지만,그 흔적은 지금도 전 세계 곳곳에 깊게 남아 있어. 현재까지 / 전 세계 / 문화적 유산 vs 식민지 잔재 논쟁 대영제국은 수많은 나라를 지배했지만,단지 땅만 차지한 게 아니었어.사법 제도, 교육 체계, 공용어, 정치 구조 등영국의 시스템을 식민지 전역에 퍼뜨렸지.이걸 흔히 "제국의 유산"이라고 불러.영어 – 전 세계를 묶는 언어지금도 영어는 전 세계 공용어처럼 사용되고 있어.유엔, 국제회의, 학술지, 항공 교신, IT 분야까지영어 없이는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국제 표준 언어가 됐지.인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케냐,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식민지였던 나라들은 지금도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영어를 사용하고 있어. 그만큼 영국식 언어 정책이 남긴 영향은 어마어마한 거야.교육 시스템 ..
2025. 6. 15.
[영국의 식민지] 19. 영국 제국의 쇠퇴 –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 독립 러시
한때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 불리던 대영제국은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점점 균열을 맞이하게 돼.1940년대 후반 ~ 1960년대 / 전 세계 / 전쟁 피로, 민족주의, 독립 운동 2차 세계대전은 전 세계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영국에게는 세계 제국으로서의 한계를 보여준 전쟁이었어. 전쟁은 돈도, 사람도, 자원도 엄청나게 써야 했기 때문에영국은 전쟁이 끝나자마자 국내 재건에 급급했고,해외 식민지를 유지할 힘이 많이 줄어들었지.인도의 독립 – 제국 해체의 신호탄1947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어.이건 단순한 독립이 아니라,전 세계 다른 식민지들에게 강한 자극을 준 사건이었지. 그뿐만 아니라 인도는 분할 독립(인도/파키스탄)을 하면서종교 갈등, 대량 이주, 유혈 사태까지 겪었지만,결국 "제국은 무너지기..
2025. 6. 15.
[영국의 식민지] 18.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 이민 식민지의 특별한 경우
이번엔 아시아나 아프리카와는 조금 다른,‘백인 중심의 정착민 식민지’에 대해 이야기해볼게. 17세기 후반 ~ 20세기 / 북미·오세아니아 / 백인 이민, 원주민 탄압, 자치 발전이 세 나라는 식민지였지만,영국이 다룬 방식이 꽤 달랐어. 왜냐면 이곳은 단순한 자원 수탈지가 아니라,영국인들이 직접 가서 정착하려 했던 ‘신세계’였거든.캐나다 – 프랑스와 영국의 경합, 그리고 자치령의 탄생처음엔 프랑스가 먼저 식민지화했지만,7년 전쟁 이후인 1763년에 영국이 캐나다를 차지했어. 그 뒤로도 프랑스계와 영국계 주민 간의 갈등은 있었지만,점점 자치적인 정부가 생기고,영국은 직접 지배보단 자율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바뀌게 돼. 그래서 캐나다는 1867년에 자치령이 되었고,이후 독립된 국가로 나아가게 된 거야.호주 –..
2025. 6. 15.
[영국의 식민지] 11. 영국-중국 무역 분쟁과 아편전쟁 – 제국의 무자비한 경제 전략
이건 말 그대로, ‘무역 전쟁’이 ‘진짜 전쟁’이 되어버린 이야기야.제국주의의 이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건이지. 19세기 / 중국 / 무역 불균형, 아편, 전쟁 처음엔 그냥 무역이었어.영국은 인도에서 나는 면직물, 향신료, 차 같은 걸중국에 팔고 싶었지. 그런데 중국은 영국 물건엔 별 관심이 없었고,오히려 중국산 차, 비단, 도자기만 계속 수출하면서영국은 계속 무역 적자를 보게 됐어. 그러자 영국이 꺼내든 마지막 카드가 뭐였을까?바로 ‘아편’이었어.아편을 팔기 시작한 영국영국은 인도에서 아편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었어.이걸 중국에 몰래 들여와서 팔기 시작한 거야.처음엔 밀수처럼 진행되다가,이게 점점 커지더니청나라 백성들 수백만 명이 아편에 중독되는 상황까지 가버려. 중국 사회는 망가지기 시작했고,청나..
2025.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