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850

[일본의 식민지] 20. 을미사변과 단발령 – 명성황후 시해와 공포정치 1895년, 조선은 정말 잔혹하고 충격적인 사건을 겪게 돼.그 중심엔 일본, 조선 왕실, 그리고 한 여인이 있었지.그 여인이 바로 명성황후(민비)야. 당시 명성황후는 조선의 국모로서점점 커지는 일본의 영향력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어.그래서 러시아 등 다른 열강들과 손을 잡고일본의 개입을 막으려는 외교 전략을 펼치고 있었지.하지만 일본은 그걸 가만히 두지 않았어.조선에서 자신들의 세력이 약해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커졌고,급기야 을미사변(1895년 10월 8일)이라는 끔찍한 사건을 일으켜. 그날 새벽, 일본 공사관의 지휘를 받은 일본 낭인들과일본군에 협조한 일부 조선군이경복궁에 침입해서 명성황후를 시해하고시신을 불태워버렸어.이건 단순한 정치적 제거가 아니었어.국모를 죽이고 시신까지 모욕하는 이 사건은조선 백.. 2025. 6. 19.
[일본의 식민지] 19.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 조선 개입의 빌미 1894년, 조선 땅에서 아주 큰 사건이 터졌어.바로 동학농민운동이야.당시 조선 사회는 너무나도 힘들었어.지배층은 탐욕스럽고, 백성들은 세금과 부역에 시달렸지.거기다 외국 세력까지 들어오면서물가는 오르고, 삶은 더 팍팍해졌어.이때 나타난 게 바로 동학(東學)이었어."사람은 하늘이다"라는 사상을 바탕으로신분 차별 없이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지.이 사상에 공감한 농민들이 모여들었고,결국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된 거야.전라도 고부에서 시작된 이 봉기는빠르게 전국으로 퍼졌고,조선 정부는 혼자 힘으론 이걸 진압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어.그런데 여기서 일본이 딱 끼어든 거야.“조선이 청나라에 군대를 요청했으니,우린 일본 국민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도 군대를 보낸다.” 이 말이 .. 2025. 6. 19.
[일본의 식민지] 18.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일본의 내정 간섭 본격화 강화도 조약으로 일본이 조선에 발을 들이게 되자,그다음 단계는 조선 내부 사정에 개입하는 거였어.그리고 그 시작이 된 사건이 바로 임오군란(1882)과 갑신정변(1884)이야.먼저 임오군란부터 이야기해 볼게.당시 조선은 오랜 세월 구식 군대 중심으로 운영되다가,개화 정책에 따라 별기군이라는 신식 군대를 만들었어.문제는 여기에 돈과 관심이 집중되면서,기존의 구식 군대는 급료도 못 받고 푸대접을 받게 된 거야. 화가 머리끝까지 난 구식 군인들이마침내 1882년, 폭동을 일으켰지.이게 임오군란이야.그 폭동은 단순히 군인의 불만으로 끝나지 않았어.점점 확대되면서 왕비 민 씨 일가의 집안,그리고 조선에 있던 일본 공사관까지 습격당했어. 결국 일본은 이 사건을 계기로“우리 국민이 피해를 입었다”며 군대를 보내고,조.. 2025. 6. 19.
[일본의 식민지] 17. 강화도 조약(1876) – ‘불평등 조약’의 시작 지금부터는 조선에 대한 이야기를수 회에 걸쳐해보려고 해.먼저 1876년, 조선은 한 가지 전환점을 맞이하게 돼.그건 바로 일본과 맺은 첫 근대적 조약,바로 강화도 조약이야.이 조약은 겉으로 보기엔 평등한 외교 조약처럼 보이지만,실상은 일본의 침략적인 의도와 조선의 주권 침해가 들어 있었던 조약이었지. 이야기의 시작은 이렇게 돼.1875년, 일본은 운요호(雲揚號)라는 군함을 조선의 강화도 근처에 보냈어.조선 수비대가 이를 경계하고 포격했지.그걸 계기로 일본은 “우리는 공격당했다”는 명분을 내세우고,군사적 긴장을 유도하면서 외교 교섭을 강요했어. 이른바 운요호 사건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일본이 철저히 계획하고 유도한 도발이었지.이 사건을 빌미로 조선과 일본은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되고,그 결과 맺어진 게 바로.. 2025. 6. 18.
[일본의 식민지] 16. 홍콩 점령 – 중국·영국 양국에 도전한 침탈 홍콩(Hong Kong)은 원래 중국 청나라의 영토였지만,1842년 아편전쟁 이후 영국에 조차지(임대지)로 넘어가게 됐지.그 뒤로 홍콩은 영국의 아시아 교두보로 성장했고,무역·금융·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전략적 거점이 되었어. 그런데 1941년,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일본은 이 홍콩을 침공하기로 결정해.이유는 간단해.영국의 힘을 아시아에서 약화시키고,중국 본토와 동남아를 잇는 전략적 거점을 장악하려는 것이었지.그래서 1941년 12월 8일,진주만 공습과 동시에 일본군은중국 광둥성에서 국경을 넘어 홍콩으로 진격했어. 이때 영국은 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으로 구성된혼성 수비대를 두고 있었지만,수적으로나 장비 면에서 일본군을 막기엔 역부족이었지. 전투는 단 17일 만에 끝났어.1941년 12월 25일, 홍콩.. 2025. 6. 18.
[일본의 식민지] 15. 뉴기니·솔로몬 제도 전투 – 남태평양 전장의 확장 태평양 전쟁이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전장은 남태평양 쪽으로 확장되기 시작했어.특히 뉴기니(New Guinea)와 솔로몬 제도(Solomon Islands)는일본과 미국이 생사를 건 공방전을 벌인 아주 치열한 무대가 되었지.먼저 뉴기니부터 이야기해볼게. 이 섬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데,서쪽은 네덜란드령(지금의 인도네시아 파푸아)이고,동쪽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영향권이었어.일본은 1942년에 이 뉴기니의 동부 해안과 북부 지역을 점령했어.그 이유는 아주 간단해.오스트레일리아를 위협하기 위한 교두보를 만들기 위해서였지. 일본군은 이 지역에 비행장을 건설하고,연합군의 보급선을 차단하려고 했어.그에 맞서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연합군은뉴기니 전선을 구축하고 정글 속에서의 전투를 시작하게 돼. 특히 유명한 전투 .. 2025. 6. 18.
[일본의 식민지] 14. 사이판, 괌, 마셜제도 – 태평양 섬들에 세운 군사기지 이번에는 일본 제국이 태평양 한가운데 세운 군사기지들,그 중에서도 사이판(Saipan), 괌(Guam),그리고 마셜제도(Marshall Islands)에 대해 이야기해볼게. 이 섬들은 전쟁 전까지만 해도작은 낙원 같았던 곳들이야.하지만 일본 제국은 이 작은 섬들을전쟁을 위한 요새로 바꾸어버렸어.처음엔 1차 세계대전 이후독일의 식민지였던 마셜제도, 마리아나 제도, 캐롤라인 제도 등을일본이 위임통치 지역으로 받아서 관리하게 됐어.처음엔 그냥 ‘통치’였지만,뒤로는 철저히 군사기지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지.그리고 1930년대 후반, 일본은 이 섬들을 기반으로태평양 전역에 군사 거점을 세우기 시작했어.항공기 활주로, 해군 기지, 탄약고 등모두 미국과의 전쟁을 대비한 포석이었지.특히 사이판은 일본 입장에선 아주 중.. 2025. 6. 18.
[일본의 식민지] 13. 미얀마 침공 – 버마 전선의 격전지 이번엔 미얀마, 당시에는 버마(Burma)라고 불렸던 지역이야.이곳은 일본 제국주의가 인도 진출을 노리고영국과 직접 부딪힌 전선이기도 해.1942년, 일본군은 동남아시아에서 맹렬하게 진격하던 중이었어.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를 점령한 뒤,곧바로 버마로 눈을 돌렸지.왜 버마였냐고?이 지역은 전략적으로 너무나 중요했거든.하나는 인도 북동부로 이어지는 관문이었고,다른 하나는 중국 국민당 정부에 물자를 보내던 보급로(버마 로드)가 있었기 때문이야.일본 입장에선 이걸 차단하는 게 아주 중요했지.버마에 주둔 중이던 건 영국군, 그리고 함께 싸운 중국군과 인도군이었어.하지만 일본군의 기습적이고 신속한 공격에영국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어.1942년 3월부터 본격적인 버마 전역(Burma Campaign)이 시작되고,수도 .. 2025. 6. 17.
[일본의 식민지] 12. 태국과 일본의 동맹 – 형식적 중립국의 실질적 협력 태국(당시 시암)은 아시아에서 식민지가 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나라였어.프랑스와 영국 사이에서 현명한 외교술로 중립을 유지했지.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일본이 동남아시아로 침략을 확대하면서,태국도 그 중심에 놓이게 돼.1941년 12월 8일.진주만 공격과 거의 동시에 일본군은 태국 동부와 남부 국경을 넘어서 침공을 시작해.태국군도 방어했지만, 전면전은 오래가지 못했어.당시 총리였던 쁠랙 피분송크람( Plaek Phibunsongkhram )은전면전보다는 협상을 통한 생존을 선택했지.결국 태국은 일본과 군사 협정을 맺고, 동맹 관계를 선언하게 돼.이로써 태국은 형식적으로는 중립국처럼 보였지만,실제로는 일본군이 태국 영토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었고,말레이시아 침공의 교두보 역할도 하게 돼.그리고 1.. 2025. 6. 17.
[일본의 식민지] 11. 필리핀 점령 – 미국과 일본의 태평양 전쟁 충돌지 이번엔 필리핀이야. 일본 제국이 미국과 본격적으로 충돌하게 된 대표적인 전장이기도 해.사실 필리핀은 스페인의 식민지였다가, 1898년 미스페인 전쟁 이후 미국의 식민지가 됐지.그러니 1941년,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하면서 미국과 전쟁을 시작했을 때,필리핀도 자동으로 전장이 되어버린 거야.당시 필리핀에는 미군과 필리핀 병사로 구성된 방위군이 있었어.지휘관은 바로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I shall return”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그 사람이야.일본군은 진주만 공격과 거의 동시에 필리핀도 공격했고,곧이어 루손섬에 대대적인 상륙 작전을 벌였지.맥아더는 바탄 반도와 코레히도르 섬으로 병력을 후퇴시켜 버텼지만,보급도 끊기고, 병력도 한계에 부딪히면서 결국 1942년 5월, 필리핀.. 2025. 6. 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