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850

[중국이야기] 황제가 끌려간 날 – 명나라를 뒤흔든 토목의 변 나라를 지키러 간 황제, 오히려 잡히다1449년, 명나라엔 젊은 황제정통제가 있었어.근데 이 황제는 아직 어리고 경험이 없었지.그 옆엔 환관 왕진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이 사람은 황제 귀에 쏙쏙 들어가는말을 하면서 권력을 휘둘렀어. 그러던 어느 날, 북쪽의 오이라트족(몽골 계열 유목민)이 국경을 넘었어.왕진은 이걸 기회 삼아 정통제를 부추겼지."폐하가 몸소 나가서 적을 무찌르면백성들이 더 존경하게 될 겁니다!"그렇게 정통제는 대군을 이끌고직접 북쪽 전쟁터로 나가게 돼. 하지만 문제는 준비가 엉망이었어.보급도 부족하고, 전략도 허술했지. 결국 군대는 허겁지겁 후퇴하게 되고,‘토목보’라는 곳에서 매복에 걸려명나라 군대는 대패하고 말았어.황제가 포로가 되다더 충격적인 건 그 다음이었어.정통제, 즉 당시의 황제.. 2025. 5. 8.
[중국이야기] 정화의 원정 – 바다 위에서 펼쳐진 명나라의 위대한 꿈 1405년, 명나라 수도 북경에서조용한 명령이 떨어졌어.당시 황제였던 영락제는 명나라의 위엄을더 넓은 세계에 알릴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거든.그 해답은 어쩌면 바다 건너, 먼 나라들에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지.그래서 황제는 한 사람에게 임무를 맡겼어.그 사람이 바로 정화야.정화는 원래 이슬람계 가정에서 태어났고,어릴 때 궁으로 끌려와 환관이 됐어.하지만 머리가 똑똑하고 실력이 뛰어나서군대와 궁정에서도 인정받았고,결국 영락제의 깊은 신임까지 얻게 됐지. 영락제는 그에게 아주 큰 임무를 맡겼어.명나라 역사상 가장 거대한 해상 원정을시작하라는 명령이었지.그건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무역이 아니라,명나라의 힘과 품격을 세상에 알리고,중국 중심의 질서를 바다 너머 나라들에게까지퍼뜨리려는 야심찬 계획이었어.거대한 배.. 2025. 5. 8.
[중국이야기] 영락제 주체, 바다 너머까지 꿈꾼 황제의 이야기 먼 옛날, 명나라의 황제 중 한 사람은조용히 일어서 세상을 뒤흔들준비를 하고 있었어.그의 이름은 '주체(朱棣)',훗날 영락제(永樂帝)라 불리게 된 인물이지. 아버지 주원장의 곁에서 자라난 소년주체는 1360년에 태어났어.그의 아버지 주원장은 가난한 농부 출신이었지만,누구보다 강한 의지를 가진 사람이었지.농민 반란의 선봉에 섰던 주원장은마침내 황제, 즉 명나라의 창건자가 되었고,그의 곁에서 자란 주체는 어릴 때부터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하나하나 익혀 나갔어. 주체는 아버지가 강조한 '농사는 나라의뿌리'라는 말을 가슴 깊이 새겼어.그래서 훗날 황제가 되었을 때,몰래 차지한 귀족들의 땅을 빼앗아백성에게 돌려주고,땅과 사람을 하나하나 조사해 국가의근간을 다시 세우는 일부터 시작했지. 찬탈, 그 피바람의 정치하지만.. 2025. 5. 8.
[중국이야기] ‘홍무제(洪武帝)’ 주원장의 나라 만들기 주원장은 황제가 되자 나라를 제대로세우기 위해 무시무시할 정도로철저한 개혁을 해.나라를 세우자마자 “이제는 다르게 살아야 한다”는절박한 마음으로 개혁을 시작했어.그가 봤을 땐, 원나라가 망한 이유는 딱 두 가지였거든.귀족과 관리들의 타락, 그리고 농민들의 고통. 그래서 그는 아주 철저하게 기초부터 새로 짰어. 나라를 세운 자, '질서'를 만들다 모든 땅을 조사해서 땅의 소유자와 면적을 다시 기록하고,몰래 차지한 귀족 땅은 회수했어. 황제도 직접 밭을 간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농업을 성스러운 일처럼 강조했지.반면 농민들을 10가구씩 묶어서백성을 감시할 수 있는‘이갑제(里甲制)’도 만들었어. '이갑제'는 우리나라 조선시대의'오가작통법' 같은 건데 여러 가구를 하나로 묶어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차이점이 있지만 .. 2025. 5. 8.
[중국이야기] 빗자루 든 스님, 황제가 되다 – 주원장과 명나라의 탄생 이제 중국 역사에서 다시 '한족'의 손에 의해제국이 세워지는 ‘명나라(明)’라는 시대로 들어가게 돼.그 중심에는 가난한 농부 출신에서황제가 된 놀라운 인물,바로 '주원장(朱元璋)'이 있어.원나라의 몰락앞서도 말했듯이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는처음엔 굉장히 강력했지만,한족을 차별하고, 고위직은 몽골인과 색목인(중앙아시아·서아시아 출신)에게만 맡겼지.그에다 과도한 세금과 부패, 홍수와 가뭄,그리고 무서운 흑사병까지 돌면서백성들의 불만은 하늘을 찔렀어. 그러다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의 불길,그 중에서 가장 거셌던 것이바로 홍건적(紅巾賊)의 난이었어.이 반란 속에서 한 인물이 부상하게 되지.그가 바로 주원장이야.주원장의 어린 시절주원장은 처음부터 위대한 인물이 아니었어.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기근으로 부모.. 2025. 5. 7.
[중국이야기] 원나라의 몰락, 그리고 주원장 끝나지 않은 야망 – 정복과 패배앞서 말했듯이 쿠빌라이 칸은칭기즈 칸이 창건한 몽골 제국을,문명과 통치를 결합한'국가'로 바꾼 인물이었어. 유목과 농경, 동양과 서양,무력과 행정이 교차하던 시기의 황제였지. 쿠빌라이는 중국에 머물렀지만,몽골의 유산인 '정복욕'을 버리진 않았어. 두 차례나 대군을 보내 일본 정벌에 나섰지만태풍(카미카제)에 막혀 실패했지.베트남, 자와(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원정도 시도했지만 지형과 기후,병력 손실 등으로 고전했어. 그의 말년엔 정복보다는 통치에 힘썼고,지속적인 반란, 재정 악화, 내부 불만에 시달리며지쳐 갔지. 죽음과 쇠퇴의 시작1294년, 쿠빌라이 칸은79세의 나이로 사망했어.그의 죽음 이후 원나라는 점점 약해졌고,후계자들은 쿠빌라이처럼 강력하지 못했어. 세금은 늘어나고.. 2025. 5. 7.
[중국이야기] 쿠빌라이 칸과 원나라의 탄생-황제국 '원나라' 유목의 후계자, 문명의 통치자칭기즈 칸의 손자들 중에서도쿠빌라이는 좀 달랐어. 그는 어릴 때부터 유학자들과 교류하며중국식 문명에 관심이 많았고,단순한 유목민 지도자가 아니라정치, 경제, 행정, 문화까지 이해한 사람이었지. 칭기즈 칸의 넷째 아들인'툴루이'의 아들이자,몽골 제국의 계승권을 놓고 벌어진내전에서 승리하면서 '대칸' 자리에 올랐어. 중국의 황제가 되다 – 원나라 건국1260년, 그는 대칸이 되었지만중국에 더 집중하기로 결심해. 그리고 1271년,중국의 통치자임을 선언하면서국호를 ‘원(元)’이라 정했지.이는 '하늘(천)의 근원'이라는뜻에서 나온 말이야. 그는 수도를 지금의 베이징(당시의 대도)으로 옮기고드디어 1279년, 남송을 멸망시키며중국 전체를 손에 넣어. 그렇게 해서몽골의 유목 제국이, 중.. 2025. 5. 7.
[중국이야기] 쿠빌라이 칸과 원나라의 탄생 칭기즈칸은 중국 북부도 정복했지만,그가 살아 있을 때는 완전히중국을 차지하지는 못했어.그 일은 그의 손자,'쿠빌라이 칸'의 몫이었지. 칭기즈 칸 사후,제국은 넷으로 나뉘었고그 중에서 쿠빌라이 칸은 중국 정복에 집중했어. 1271년, 쿠빌라이는 자신이 중국 황제임을 선언하며국호를 '원(元)'이라 짓고,1279년엔 남송까지 멸망시켜중국 대륙 전체를 손에 넣어.드디어 유목 민족이 정착 문명을완전히 장악한 순간이야.몽골의 새로운 통치 방식원나라는 단순히 정복한 게 아니라기존 중국의 제도도 받아들이면서몽골식 지배 체제를 접목시켰어. 중앙에는 몽골인이,그 아래에는 색목인(중앙아시아계),그 아래에 한인(금나라 백성),그리고 맨 아래에 남인(남송 백성)이 있었지.철저한 계급 질서 속에서피지배자들은 많은 제약을 받았어... 2025. 5. 7.
[중국이야기] 칭기즈칸 사후 4개의 제국 (2-2) 3. 차가타이 칸국 – 중앙아시아의 실크로드를 잡다지역: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서부 중국 일부세운 사람: 차가타이 칸 (칭기즈 칸의 둘째 아들)수도: 없음 (유목민답게 이동식 통치)여긴 실크로드 한복판이라무역이 아주 활발한 지역이었어.유목과 이슬람, 페르시아 문화가뒤섞인 곳이었지.처음엔 몽골식 전통을 지키려 했지만,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완전히 중앙아시아 이슬람 왕국으로 변해. 훗날 '티무르(타무를란)'라는 무시무시한 정복자가이 지역을 다시 장악하게 돼.4. 일 칸국, Ilkhanate – 페르시아의 몽골 제국지역: 지금의 이란, 이라크, 터키 동부세운 사람: 훌레구 칸 (칭기즈 칸의 손자, 툴루이의 아들)수도: 타브리즈이 칸국은 이슬람 세계 한복판에세워진 몽골국가였어.훌레구.. 2025. 5. 7.
[중국이야기] 칭기즈칸 사후 4개의 제국 (2-1) 1. 원나라 (元) – 쿠빌라이 칸의 중국 제국지역: 중국 본토 + 한반도 영향권, 티베트, 몽골 본토까지세운 사람: 쿠빌라이 칸 (칭기즈 칸의 손자)수도: 대도(지금의 베이징)여기는 네 개 중에서도 가장 정통성 있는중심지로 여겨졌어.쿠빌라이가 중국식 황제 체제를 받아들이고,국호도 ‘원’으로 바꿨어. 행정 체계도 바꾸고, 중국 한족을통치하기 위해 문치 중심으로 전환했지. 하지만 몽골인 우대를 내세워계급 차별도 심했고, 점차 내부 반란과경제난이 겹치면서 결국 홍건적의 난→ 명나라 성립으로 멸망하게 돼.2. 킵차크 칸국 (Golden Horde) – 러시아와 동유럽을 지배하다지역: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동유럽 일부세운 사람: 바투 칸 (주치의 아들, 칭기즈 칸의 손자)수도: 사라이칭키즈칸의 장남.. 2025. 5. 7.
728x90
반응형
LIST